1001마리 꿀벌 (양장본 Hardcover)
벌이 없으면 사람도 없다 - 아인슈타인자꾸만 사라지는 꿀벌, 꿀벌이 없으면 사람도 없을 거예요.꿀벌에 대한 모든 것!꿀을 만드는 꿀벌의 세상으로 따라가 볼까요?꿀벌과 꿀, 벌집이 궁금한가요? 양봉가인 라뤼슈 아저씨의 벌통 안에는 엄청나게 많은 꿀벌들이 살고 있어요. 육각형 모양의 방 안에서는 꿀벌들이 각자 맡은 일을 하고 있어요. 꿀벌의 사회는 여왕벌이 지배해요. 꿀벌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일벌은 여왕벌의 시중을 들고, 집을 짓고, 꿀을 저장하는 일을 해요. 벌통 입구에는 환기를 위해 날개를 열심히 떠는 일벌들도 있어요. 벌통을 지키는 일벌도 있고요. 봄이 되면 꿀벌이 늘어나 벌통이 좁아져요. 그러면 여왕벌은 무리를 만들어 벌통을 떠납니다. 이것이 바로 분봉이에요. 새 벌통을 만들 때 정찰병 일벌들은 공중에서 춤을 추며 무리에게 위치를 알려요. 기존의 벌통에서는 새 여왕벌이 태어나고요. 꿀벌은 자연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어요. 언제나 바쁘게 움직이는 꿀벌들 덕분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 책에서는 꿀벌과 꿀, 벌집에 대한 모든 것을 만날 수 있어요.지구에 벌이 사라지고 있어요!2022년 봄, 꿀벌의 집단 실종에 대한민국이 발칵 뒤집혔어요. 전문가들은 그 원인이 해충과 점점 심각해지는 이상 기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것이라고 밝혔어요. 평소보다 온도가 높아 꽃이 피는 시기도 빨라졌고, 꿀벌이 벌통 밖으로 나왔다가 돌아가지 못한 거예요.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꿀벌이 대규모로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요. 전 세계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과학자 아인슈타인은 “지구에 벌이 사라지면 인류는 4년 안에 멸종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벌이 없으면 사람도 없다.”고도 했지요. 벌과 사람, 생태계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기 때문일까요? 그 관련성을 《1001마리 꿀벌》에서 알아 보아요.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아름다운 자연을 만나 보세요. 따뜻해진 봄에는 꿀벌의 수가 늘어나고 분봉이 일